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ChatGPT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생성시 초상권 보호와 AI 학습 방지 설정 방법

by 밋돌세 2025. 4. 9.

 

“친구가 카톡 프사를 지브리 스타일로 바꿨는데 너무 귀여워서 나도 해보려고 했더니, 혹시 내 사진 올리면 개인정보 유출될까 걱정되더라고요.” 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신 적 있지 않나요?

 

최근 Chat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지브리 스타일 변환이 유행하면서 SNS와 커뮤니티가 떠들썩합니다.

 

따뜻한 색감과 감성적인 분위기로 사랑받는 지브리風 이미지를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죠.

 

하지만 동시에 “내 얼굴 사진을 AI에 올려도 괜찮을까?”라는 초상권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습니다. 

 

 

 

지브리 스타일의 인기

Chat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은 OpenAI의 DALL·E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특히 GPT-4o 모델부터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을 특정 스타일로 변환하는 능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스튜디오 지브리(Studio Ghibli)의 애니메이션 스타일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독특한 화풍 덕분에 큰 인기를 끌고 있죠.

 

2025년 3월 말부터 이 기능이 본격적으로 화제가 되면서, 국내외 이용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플랫폼 기업 IGAWorks에 따르면 2025년 3월 27일 기준 ChatGPT의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DAU)가 125만 명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해요.

 

하지만 이런 인기 뒤에는 초상권과 저작권에 대한 우려도 따라붙습니다. 특히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해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할 때, 개인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ChatGPT 애니메이션 스타일, 지브리 디즈니 픽사 신카이 마코토 클래식

 

ChatGPT 애니메이션 스타일, 지브리 디즈니 픽사 신카이 마코토 클래식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AI로 구현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 한 번쯤 가져보셨죠? OpenAI의 ChatGPT가 최근 이미지 생성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면서, 단순한 텍스트 대화에서 나아가 놀라운 시각적

meetallse.dpstory.com

 

애니메이션 스타일, 스튜디오 지브리 디즈니 교토 토에이 비교

 

애니메이션 스타일, 스튜디오 지브리 디즈니 교토 토에이 비교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이건 정말 독특하다!”라는 생각을 한 적 있으신가요? 스튜디오 지브리의 작품을 보고 나면 그 따뜻하고 신비로운 느낌에 빠져들게 되죠. 하지만 세상에는 지브리스타

meetallse.dpstory.com

 

초상권의 중요성

초상권은 개인이 자신의 얼굴, 신체 등 외모에 대한 이미지를 허락 없이 사용되지 않도록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헌법 제10조(행복추구권)와 민법 제750조(불법행위)에 근거해 초상권이 법적으로 인정되며, 이를 침해하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내 사진을 무단으로 상업적 용도로 사용한다면 초상권 침해로 간주될 수 있죠.

 

ChatGPT에서 지브리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들 때 초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이 AI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고 활용되는지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OpenAI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AI가 내 사진을 학습하거나 어딘가에 이용한다면 불안할 수 있습니다.

 

 

ChatGPT 데이터 처리 과정

ChatGPT에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를 만들려면 먼저 사진을 업로드하고,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해줘” 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AI가 사진을 분석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죠. 이 과정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될까요?

 

1. 사진 업로드:

사용자가 사진을 업로드하면 OpenAI 서버로 전송됩니다.

 

2. 이미지 변환:

DALL·E 모델이 사진을 기반으로 지브리 스타일로 새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3. 결과 반환:

변환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원본 사진은 처리 후 삭제된다고 OpenAI는 주장합니다.

 

OpenAI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업로드된 사진은 AI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지 않으며, 일정 기간 후 서버에서 삭제됩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보관 기간이나 삭제 프로세스는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어요. 이는 네이버 지식IN이나 구글 검색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불확실성 중 하나입니다.

 

 

초상권 보호를 위한 설정

ChatGPT에서 초상권을 보호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은 제한적이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질적인 팁들입니다.

 

1. 개인정보 최소화하기

얼굴이 드러나지 않은 풍경 사진이나 사물 사진으로 테스트해보세요. 예를 들어, “내 방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해줘”처럼 요청하면 초상권 걱정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사진을 업로드하기 전에 얼굴 부분을 블러 처리하거나 모자이크를 적용하세요. 포토샵이나 간단한 모바일 앱으로도 가능합니다.

 

2. 계정 설정 확인

ChatGPT 설정 메뉴에서 데이터 제어 설정을 확인하세요. 모두를 위한 모델 개선을 비활성화 하면 입력한 정보나 사진이 학습에 사용되지 않게됩니다.

 

chatgpt 계정 설정

 

 

또한 OpenAI는 ‘Temporary Chat’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 모드를 사용하면 대화와 업로드된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습니다.

 

3. 프롬프트 작성 시 주의

“내 얼굴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 대신 “이 사진을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해줘”처럼 모호하게 요청하면 개인 식별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지브리”라는 단어를 직접 쓰면 저작권 정책 위반으로 차단될 수 있으니, “따뜻한 파스텔 톤의 애니메이션 스타일” 같은 대체 표현을 사용해보세요.

 

 

저작권 논란도 함께 고려

초상권뿐 아니라 지브리 스타일 자체의 저작권 문제도 화제입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아직 ChatGPT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과거 NHK 인터뷰에서 “AI 기술은 삶에 대한 모독”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습니다.

 

만약 지브리가 법적 대응에 나선다면, “지브리 스타일”이라는 표현이 저작권 침해로 간주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요.

 

이를 피하려면 프롬프트에 “Studio Ghibli” 대신 “일본 애니메이션 풍” 같은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실제로 2025년 4월부터 ChatGPT는 저작권 정책 강화로 “지브리”라는 단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생성을 차단하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참고 자료 및 출처

  1. OpenAI 공식 블로그 - 데이터 처리 및 프라이버시 정책 (www.openai.com/blog)
  2. Kaspersky 보안 가이드 - ChatGPT 보안 관련 정보 (www.kaspersky.co.kr)
  3. IGAWorks 모바일인덱스 - ChatGPT 이용자 통계 (www.igaworks.com)

 

 

 

댓글